인구·고용 불안이 지방소멸위험 가속화 원인

한국고용정보원 소멸위험 유형별 인구·고용 통계
경주 조출생률·일자리 질 등 지표 소멸위험 ‘진입’

이상욱 기자 / 2023년 10월 12일
공유 / URL복사
경주시가 지방소멸위험 ‘진입’ 단계로 분류돼 있는 가운데 이와 관련한 각종 지표 역시 저조한 수치를 기록해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가임기(20~39세)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나눈 값으로 측정하는 ‘지방소멸 위험지수’를 넘어 조출생률, 합계출산율, 고용률 등 인구·고용 분야 지표 역시 소멸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

한국고용정보원이 제공하는 소멸위험 유형별 인구·고용 통계 14개 지표를 분석한 결과 경주시는 대부분 지방소멸위험 정상지역 평균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먼저 인구와 관련된 통계로 경주시 2022년 인구 1000명당 출생인구 수인 조출생률은 4.2명이었다. 이는 정상지역 6.1명보다 1.9명 낮은 수치로 지방소멸위험 ‘진입’ 단계였다.

또 인구 1000명당 사망인구 수인 조사망률은 9.2명으로 정상지역 4.3명 대비 2배 이상 높아 소멸 고위험지역에 포함됐다.

평균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89명으로 정상지역 0.81명보다 높았지만, 이는 소멸위험지역일수록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 한국고용정보원 측의 분석이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15-49세까지 여성의 연령별 출산율을 더한 값으로 산출되는 ‘합계출산율’은 소멸위험지역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소멸고위험지역이 평균 0.96명, 소멸위험진입지역이 평균 0.93명으로 정상지역 0.81명보다 높았다는 것. 이에 따라 경주시 합계출산율이 정상지역보다 높았지만 지방소멸 단계로 보면 위험 ‘진입’ 단계인 0.93명과 근접한 수치를 보였다.

한국고용정보원 관계자는 “조사 결과 합계출산율이 지방소멸위험과는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조출생률은 지역 내 젊은 여성인구의 비중에 영향을 받지만, 합계출산율은 젊은 여성인구 비중이 적더라도 지역에 정착해 출산한 여성비중이 높으면 증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청년·여성 일자리 기회 부족이 소멸위험 높여

지방소멸위험지수의 또 다른 지표인 고용 분야에서도 경주시가 대부분 위험 진입 단계로 나타났다. 청년과 여성을 중심으로 일자리 기회가 부족하고,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고학력·전문직 비중 등이 정상지역보다 낮게 조사된 것.

2022년 경주시 고용률은 67.2%로 정상지역 평균 67.3%와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20~34세 청년 고용률은 56.5%로 정상지역 64.9% 대비 8.4%p 차이를 보이며 소멸위험 진입 단계에 들어갔다.

또 제조업 취업자 비율은 21.7%로 정상지역(24.2%) 범주이내에 들었지만, 취업자 대비 임금근로자 비율은 69.6%로 정상지역 83.3% 대비 13.7%p 낮게 나타났다.

취업자 중 전문대 이상 졸업자 비중은 52.9%, 전문직 취업자 비중은 18.0%로 정상지역보다 각각 7.4%p, 9.3%p 낮았다.

반면 임금근로자 대비 상용직 비중은 80.9%로 정상지역 80.4%보다 0.4%p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일자리의 질 격차는 임금 격차로 이어졌다. 2022년 경주시 취업자의 평균임금은 279만5000원으로 정상지역 316만원에 비해 11.6% 낮았다. 소멸위험지수로는 위험 진입단계였다. 한편 지난 2월 기준 가임기(20~39세)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나눈 값으로 산정되는 지방소멸위험지수 분류 결과 경주시는 0.339로 4단계인 소멸위험진입 단계였다.

한국고용정보원 관계자는 “지방소멸위험의 심화는 청년인구의 유출과 높은 관계가 있다”면서 “청년인구 유출에 따른 지역소멸 위험의 증가는 결국 일자리 기회와 일자리 질의 격차가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인 만큼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 창출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X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