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없는 거리 시민 참여로 시작한다

주민의견 직접 반영하는 전주, 민원 해결과 도심 활성화 두마리 토끼 잡아

이필혁 기자 / 2020년 11월 19일
공유 / URL복사
경주는 최근 황리단길 인근 도로의 교통 혼잡으로 관광객은 물론 주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이에 시는 한시적 교통 통제를 통한 주말 ‘차 없는 거리’를 시행하고 있다. 이 제도를 시행 전 주민과 일부 상인들의 반발이 거세지며 제도 시행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시행 이후에도 여전히 차 없는 거리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표출하고 있다. 보행자 안전을 위한 ‘차 없는 거리’가 성공과 실패의 갈림길에 선 경주. 타 지자체는 차 없는 거리 시행으로 어떤 변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을까?

↑↑ 전주시가 조성한 차 없는 거리는 보행자 안전과 차량 통행을 염두해 만들었다.

#걷고 싶은 거리 조성한 전주

국내에는 서울을 비롯해 전국 지자체들이 차 없는 거리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 주민 참여를 통한 걷기 좋은 거리 조성으로 민원 해결과 도심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

전주시는 1999년부터 2002년 사이에 고사동 일대인 오거리 문화광장에서 중앙동 전주객사 사이의 길을 걷고 싶은 거리로 조성했다. 이 일대는 도심에 인접해 교통이 편리하고 쇼핑상가가 인접한 상권이다. 이 곳은 과거 전주이씨의 발원지로 역사적 의미를 갖는 곳이다.

주변에는 풍남문과 경기전, 전주향교, 오목대, 조경단, 한옥마을 등의 역사적 자원이 많은 곳이기도 하다. 걷고 싶은 거리 조성 사업은 도심 활성화를 위해 시작됐다. 1980년대 이전에는 주요 상업시설이 풍남문 주변에 밀집해 있었다. 이후 충경로를 개설하면서 현재 걷고 싶은 거리로 이전하게 된다. 오거리 문화광장부터 중앙동 전주객사에 이르는 가로공간에는 대규모 판매시설이 형성됐다. 전주시는 2002년 월드컵 이후 도심 쇠퇴 상업공간을 활성화하고 시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상업가를 걷고 싶은 거리로 정비 사업을 진행한다.

전주는 보행환경을 개선을 통해 유동인구를 유입한다는 계획으로 사업을 진행했다. 걷고 싶은 거리의 초입부에 있는 전통문화유산인 전주객사를 모티브로 전주만의 특색 있는 이미지를 거리에 녹이려 했다.

상가활성화와 쾌적한 보행환경 조성을 위해 바닥포장 및 가로시설물을 설치했고, 전체도로는 보행자 안전을 우선하기 위해 차량 통행을 상황에 따라 개방하거나 막는 가변성 도로를 만들었다.
또한 특정시간에는 화물차량의 출입을 허용해 상가들의 물류 문제를 해결하도록 만들었다.

걷고 싶은 거리 북쪽에는 광장을 조성해 북측 상가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편의를 제공했으며 공여주차장도 건설해 걷고 싶은 거리 상가 이용자들에 대해 할인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통행을 제한하고 차량이용자들에게 편의성의 제공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주민참여

시는 주민이 참여하는 설계방법을 통해 참여를 유도했다. 주민참여를 위해 주민 워크숍과 인터넷 페이지를 운영해 현장을 직접 볼 수 있도록 만들었다. 주민 참여는 여러 차례 진행되며 주민이 원하는 길의 이미지와 필요한 시설, 설계 방향, 최종계획안 등을 주민과 논의했다. 또한 설문조사와 토론을 통해 주민의 의견이 직접 반영하도록 만들었다.

사업 이후 걷고 싶은 거리는 활기를 띄는 촉매제가 되었다. 주변 상권은 공실이 감소하는 것은 물론 업종수가 증가되고 업종의 특성화 현상이 나타났다. 이전에 비해 공실수가 절반 이상 줄어들었고 업종수도 증가했다고 시는 밝혔다. 또한 의류 관련 업종이 70여개에서 80여개로 증가하면서 의류 관련 업종의 특성화도 나타났다.

전주의 걷고 싶은 거리 조성사업은 주민 참여를 통한 이해가 바탕이 되었기에 가능했다. 상가지역에 위치해 상인들과의 이해가 뒤따르지 않으면 마찰이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기존 설계대로 사업을 추진할 경우 이해 관계에 얽혀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되자 주민 참여형 설계를 도입해 주민과의 이해를 높였다. 상호 이해와 주민 동의를 통한 거리 형태와 시설을 도입했다. 또한 사업 진행 시 뒤따르는 민원을 주민참여설계를 통해 해소했다. 거리 조성 이후에는 청소와 주차억제 등의 유지관리에 주민 참여를 이끌어내는데도 큰 도움이 됐다.

걷기 좋은 거리 인근 상인은 “사업 초기 매출이 줄어들 것을 우려한 상인과 주차와 차량 이용 등 문제로 주민과 시 간에 여러 마찰이 있었다”면서 “하지만 주민이 참여해 거리를 조성해 가면서 걷지 좋은 거리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주민이 참여가 없었다면 걷기 좋은 거리의 정착은 늦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X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