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결산-폐철도 어떻게 할 것인가?-폐철도를 통한 관광 상품화 ‘소문난 잔치 먹을거리 없다’

폐철로 상업공간 활용 쉽지 않아, 폐철로 시민 공간으로 돌려줘야

이필혁 기자 / 2016년 11월 24일
공유 / URL복사
레일바이크 사업 포화상태와 맞물려 폐철로 활용은 상업 개발이 아닌 공원 등 시민공간을 활용돼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받고 있다. 그동안 폐철로 활용에 가장 적합해 보이던 레일바이크 사업이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앞다퉈 도입하며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우후죽순 생겨난 레일바이크 사업은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고도 이용객 감소로 지자체에 세금을 잡아먹는 하마로 둔갑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 (주)경주신문사


정선군 관계자 “레일바이크 사업 말리고 싶다”
우후죽순 생겨난 레일바이크로 전국 25곳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올해만 3곳 이상의 지자체가 레일바이크 관련 관심을 보이고 있다. 레일바이크 대표 성공 지자체로 손꼽히는 정선군도 이런 경쟁적 레일바이크 증가에 수익성이 점차 나빠지고 있다.

정선군에 따르면 2005년 8만 명 정도였던 레일바이크 탑승객이 2006년부터 20만 명 웃돌더니 2010년 연간 이용객 36만 명을 돌파했다. 하지만 레일바이크가 전국적으로 생겨나면서 2014년에 이어 2015년에도 연속 이용객이 줄어들어 2010년 32억 가까운 매출을 올리던 정선 레일바이크는 지난해 매출액이 25억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정선군청 백호민 주무관은 레일바이크 사업이 과도한 경쟁으로 수익을 내기 어려울 것이라 예상했다.

그는 “올해만 세 군데 이상의 지자체에서 레일바이크 관련 문의를 해왔다.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임에도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것 같다”면서 “수익을 추구하는 민간 기업과 관광객을 끌어들이려는 지자체 간 견해 차도 심해지고 있다.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는데 새롭게 세금을 투자해 레일바이크 도입은 말리고 싶다”고 말했다.

ⓒ (주)경주신문사


폐철로 상업 추진 주민 반발 거세
지자체가 폐철로를 주민 의견을 반영하지 않고 상업시설로 활용하다 반대에 부딪치고 있다. 경주, 울산, 포항 등과 함께 동해남부선 철로가 사라지는 부산시가 폐철로를 상업시설인 레일바이크 사업으로 추진하자 주민 반대가 거세지고 있다.

부산시는 동구 올림픽교차로에서 송정역까지 11km 구간 중 미포에서 송정까지 4.8km 구간을 민간기업과 함께 레일바이크 사업을 추진했다가 지역 시민단체와 시민 등에 반대에 부딪혔다. 시민단체 측은 부산시가 일방적인 상업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부산환경운동연합 최수영 사무국장은 “부산시는 민간기업에 특혜를 주면서 폐선부지를 상업개발하고 있다”면서 “시민사회단체와 주민들은 무분별한 상업 개발이 아닌 공공개발을 통해 시민들에게 돌려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주)경주신문사


폐철로 시민 공간으로 돌려줘야
광주 푸른길 공원은 인구 149만 명이 이르는 광주광역시를 가로지르던 철도가 1998년 폐선되자 이를 시민참여형 도심 공원화한 곳으로 폐철로를 성공적으로 시민 공간화된 곳이다. 광주 푸른길 공원 조준혁 사무국장은 철로 공원화로 도심의 녹지공간 확보와 도시경관 개선이라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이 변화는 자연스레 도시재생 공간의 기반으로 지역 주민의 거주 환경 변화와 삶의 질 개선으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조준혁 사무국장은 “폐철도를 시민이 주체가 돼 공원을 조성해 낙후돼 있던 지역이 이젠 가장 살기 좋은 동네로 변했다”면서 “단순히 거주 환경이 좋아진 것을 떠나 공원을 통한 지역 공동체 형성과 도시를 시민이 살릴 수 있다는 자부심이 생겼다”고 말했다.
X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할 수 있습니다.